Conferences

[Future Conferences]

  • 31회 The Ohio State University (2026)
  • 30회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25)
  • 29회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6/20-22, 2024)

[Past Conferences]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2024 Annual Confer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Bloomington, Indiana

  June 20-22, 2024

  

2024 AATK Conference Theme:

 New Learning Ecology and Innovative Language Pedagogy and Research:

Reconceptualization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ALL FOR PAPERS/PARTICIPATION

Deadline for Submission: February 15, 2024
Notification of Acceptance: March 15, 2024

In the field of language teaching, the quest for innovation remains a persistent objective. Nevertheles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what true innovation means in the continually evolving learning environment. The incorporation of emerging digital tools, such as the Chat GPT, as well as awareness of social justice (e.g.,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into education and communication has a profound influence on all facet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Such influences span from recalibrating our understanding of the pedagogical roles of educators and learners, to adjusting to these emergent paradigms and crafting materials and strategies that are more attuned to learners’ shifting needs, not to mention redefining the research modalities we adopt to probe these evolving methods. Additionally, the far-reaching impact of globalization, heightened international mobility, and the demand for more adaptable learning methods necessitate a thorough contemplation of the evolving requirements and needs of language learners.

The overarching theme of the 2024 AATK conference is designed to create a platform for Korean language educators and researchers to engage in constructive discussions about comprehending the complexities of the evolving learning ecology and reconceptualizing innovative language pedagogy. In the conference, the notion of innovation can encompass various aspects, such as creative teaching practices, inventive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pioneering research methods, or any form of innovative thought within the new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ecology.

Topic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subjects:

Keywords

  • Artificial Intelligence (AI)
  • Chatbot
  • Digital literacy/AI literacy
  • Virtual Reality (VR) – Crossover language teaching
  • Ethical issues in using technology
  • Teacher’s role in technology-assisted teaching
  • New teaching approaches
  • Learner agency/autonomy
  • Self-assessment
  • Authentic materials and assessment
  • Connectivism
  • Learner motivation
  •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language teaching & learning
  • Open resources
  • Research ethics

We invite the submission of proposals and abstracts that discuss various aspects of researc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including those that discuss other aspect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utside of this year’s theme. In particular, we welcome abstracts from K-12 educators as we plan to reserve at least one workshop session for K-12 participants. There will also be special awards for graduate students who present excellent conference papers. (Note: It will not be applied to a paper co-presented by a faculty member.)

 

북미한국어교육학회 2024 학술대회 주제:

새로운 학습 생태와 혁신적 언어 교육법 및 연구: 개념의 재구성, 도전 과제, 그리고 미래의 방향성

 

언어 교육 분야에서 혁신을 추구하려는 노력은 지속적으로 있어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학습 환경에서 진정한 혁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Chat GPT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도구와 사회 정의를 위한 다양성, 평등성, 포용성에 대한 인식을 교육과 의사소통의 영역에 통합하는 것은 언어 학습 및 교육의 모든 측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영향은 교사와 학습자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재구성하는 것부터,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고, 학습자의 변화하는 요구에 더 잘 맞는 자료와 전략을 마련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변화하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채택하는 연구 방법을 재정의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더 나아가, 세계화의 광범위한 영향국제 이동성의 증가, 그리고 더 유연한 학습 방법에 대한 요구는 학습자의 변화하는 요구 사항에 대한 철저한 성찰을 필요로 합니다.

2024 AATK 학술대회의 주요 목표는 한국어 교육자들과 연구자들이 진화하는 학습생태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혁신적 언어교육을 재개념화하기 위한 건설적인 논의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하는 데에 있습니다. 이 학술대회에서는 혁신의 개념이 다양한 측면, 예를 들면, 선도적인 교수법, 독창적인 커리큘럼 및  프로그램 개발, 선구적 연구 방법, 또는 새로운 학습 생태를 위한 혁신적 생각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주제들이 예가 될 수 있겠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아도 좋습니다:

  • 인공지능
  • 챗봇
  • 디지털 리터러시/AI 리터러시
  • 가상현실(VR) – 크로스오버 언어 교육
  • 기술 사용에 있어서의 윤리적 문제
  • 테크놀로지 보조 교수에서의 교사의 역할
  • 새로운 교수 접근법
  • 학습자 주체성/자율성
  • 자기 평가
  • 실제성 있는 자료와 그 평가
  • 연결주의
  • 학습자 동기
  • 언어 교수, 학습을 위한 메타인지 전략
  • 열린 자원
  • 연구 윤리

 

올해 선정된 학회 주제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과 학습 전반에 걸친 다른 주제들과 관련된 발표 신청을 통해 적극적으로 학회에 참여해 주십시오. 특히 초중고교 선생님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최소한 1 개의 워크숍 발표 일정을 따로 준비해 놓겠습니다. 또한 우수 발표 대학원생들을 위한 특별상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Note: 교수와의 공동 발표는 제외)

 

SUBMISSION GUIDELINES

  1. Presentation Categories

  (1) Workshop panel (90 minutes):

Workshop panels address practical concerns and share immediately applicable suggestions on issues ranging from development of programs, materials, and resources to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techniques to methods of assessment.

  (2)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20-minute presentation followed by Q & A):

This category has been designed for sharing novel and effective practices in teaching Korean.

  (3) Conference paper (20-minute presentation followed by Q & A):

This section of the meeting entails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on topics pertaining to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Also, we expect explicit statements of the relevance of the presented research to Korean program development and pedagogic practices. A mere descrip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or practices without analysis of data, which would better fit the above category of teaching materials exchange, will not be considered for this category.

Abstract Guidelines

  • Workshop Abstracts
    -The topic should address current and continuing concerns of the Korean teaching field.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workshop should be clear, motivated, and plausible.
    -The contents should be relevant, substantive, and engaging.
    -There should be a viable procedure for audience involvement.
  •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Abstracts
    -The topic should address current and continuing concerns of the Korean teaching field.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presentation should be clear, motivated, and plausible.
    -The material should be original and stimul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 should be well demonstrated.
  • Conference Papers Abstracts
    -The research goals should be clearly stated and related to existing studies.
    -The research should be based on robust data.
    -The methods should be well-defined and the analysis should be solid.
    -The results and discussion should be substantive and informative.
    -The research should be relevant to Korean teaching.
  1. Requirements for Proposal or Abstract Submission
  • The presenter or ALL co-presenters listed must be an AATK member at the time of submitting a proposal or abstract.
  • Adding presenters will NOT be allowed after submission of a proposal or abstract.
  • All accepted presenters must pre-register by April 15th, 2024. Please check that the membership of AATK of the presenter(s) is valid or renewed before the conference. Otherwise, presenter names will NOT appear in the program.
  • All session chairs must register for the workshop and conference and be a member of the AATK.
  • All presentations must involve original materials, which have never been presented or published elsewhere.
  1. Length: Maximum 500 words (English or Korean) + References or data limited to 250 words if applicable.
  2. Limit of Submission: No more than 1 individual and 1 joint proposal/abstract, or 2 joint abstracts/proposals per person.
  3. Limit of co-presenters: No more than 5 individuals can be listed as co-presenters on a proposal/abstract.
  4. Online submission: https://www.aatk.org/registration/paper/paper_list.php

If you have questions, please contact the AATK 2024 Conference Program Chair, Kyung-Eun Yoon at kyoon@umbc.edu.

 

초록 제출 지침

  1. 학회 발표 유형

  (1) 워크샵 (90 ): 프로그램, 수업 자료, 학습 활동, 평가 방법 개발 등과 관련된 보다 실질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워크샵. 적극적인 청중의 참여 유도 필수.

  (2) 교수 방법 자료 (20 분 발표 이후 질문 응답 시간 10): 새롭고 효과적인 교수 방법 및 자료를 공유하는 발표.

  (3) 연구 논문 (20 분 발표 이후 질문 응답 시간 10): 한국어 학습과 교육 관련 학술적 연구 발표. 연구 동기, 데이터 수집, 연구 분석 및 결과에 대한 토론 포함 필수.

위의 영문 공고문의 Abstract Guidelines 참조

  1. 초록 제출 시 유의 사항
  • 초록 제출은 북미한국어교육학회 회원이어야만 가능함. 즉 모든 발표자/저자들이 초록 제출 시 회원이어야 함.
  • 초록 제출 이후 발표자/저자 추가 불가함.
  • 초록 심사 결과 발표 이후 모든 발표자/저자는 2024 4 15 일까지 연례 학회 선등록 필수. 학회 등록 시 그리고 발표 시 AATK 회원 상태 계속 유지 되어야 함.
  • 회원가입과 선등록이 마감 날짜까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학회 프로그램에서 발표자/저자 이름 제외. 세션 담당자들도 북미한국어교육학회 회원이어야 하며 연례 학회 등록 필수.
  • 모든 발표는 독창적인 연구여야 하며 타 학회에서 발표했거나 학술지 등에 이미 게재된 논문은 제외.
  1. 길이: 영어 또는 한국어로 최대 500 어절 + 참고문헌 250 어절
  2. 초록 제출 개수 제한: 한 사람 당 두 개까지만 제출 가능. , 단독 발표 한 개와 공동 발표 한 개, 또는 단독 발표 없이 두 개의 공동 발표 가능.
  3. 공동 발표자/저자 수 제한: 한 초록 당 다섯 명까지 가능.
  4. 초록 제출 방식: 온라인 제출. https://www.aatk.org/registration/paper/paper_list.php

 

더 자세한 내용은 위의 영문 공고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발표 지원서 제출과 관련하여 질문이 있으시면 2024년 학회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윤경은 교수에게 (kyoon@umbc.edu) 연락 주십시오.